청각 장애인 보청기 지원 안내문 > 자유게시판

본문 바로가기

자유게시판

행복의 시작 ‘동행과 공경’

  • HOME
  • 게시판
  • 자유게시판

자유게시판

  • HOME
  • 게시판
  • 자유게시판

청각 장애인 보청기 지원 안내문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대한복지용구
댓글 0건 조회 7,125회 작성일 09-03-26 11:01

본문

전국 청각 장애인 보청기 나눔 행사 1. 행사 목적 - 전국에서 청각장애를 격고 계시는 어르신과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청력검사를 통해 본인의 청력상태를 확인하고 올바른 보청기 사용법을 배우는 한편 시중에서 고가에 판매되는 디지털보청기를 본인부담금 없이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구입 하실 수 있게 도와드립니다. 2. 행사 내용 - 청력검사 - 보청기 체험 - 청력검사 및 상태에 따른 사용 안내 - 보청기 보급 3. 지원 대상 - 청각장애 등록 장애인, 기타 중복장애 등록 장애인 (1~6급) - 기초생활수급, 차상위계층 청각장애인, 건강보험가입 청각장애인 - 보청기급여를 5년 이내에 받지 않으신 분 또는 내구연한이 지나신 분 - 내구연한 5년이 지나지 않아도 보청기의 결함이 있을 경우 제 지급 청구 가능 4. 지원 보청기 1. 귀걸이형 보청기 2종류 (디지털 2채널) 시중판매금액 : 1,000,000원 행사판매금액 : 340,000원 2. 고막형 1종류, 귓속형 1종류, 외이도형 1종류 (디지털 2채널) 시중판매금액 : 2,000,000원 행사판매금액 : 690,000원 3. 고막형 1종류, 귓속형 1종류, 외이도형 1종류 (디지털 4채널) 시중판매금액 : 3,000,000원 행사판매금액 : 890,000원 5. 지원 내용 1. 귀걸이형 보청기 2종류 (디지털 2채널) 행사판매금액 : 340,000원 기초생활수급, 차상위계층 : 지방자치단체에서 구입금액 340,000원 전액지원 건강보험가입 : 공단에서 272,000원 지원 자부담 68,000원을 지불하셔야 해당 보청기를 구입 하실 수가 있습니다. 2. 고막형 1종류, 귓속형 1종류, 외이도형 1종류 (디지털 2채널) 행사판매금액 : 690,000원 기초생활수급, 차상위계층 : 지방자치단체에서 구입금액 340,000원 지원 자부담금 350,000원을 지불하셔야 해당 보청기를 구입할 수가 있습니다. 건강보험가입 : 공단에서 272,000원 지원 본인부담금 418,000원을 지불하셔야 해당 보청 기를 구입할 수가 있습니다. 3. 고막형 1종류, 귓속형, 1종류, 외이도형 1종류 (디지털 4채널) 행사판매금액 : 890,000원 기초생활수급, 차상위계층 : 지방자치단체에서 구입금액 340,000원 지원 자부담금550,000 원을 지불하셔야 해당보청기를 구입 할 수가 있습니다. 건강보험가입 : 공단에서 272,000원 지원 본인부담금 618,000원을 지불 하셔야 해당 보청기를 구입할 수가 있습니다. 6. 구비서류 및 확인사항 - 보청기 처방전 발급기관 : 이비인후과 - 장애인등록증(복지카드) 사본 - 기초생활수급 및 차상위계층 : 보장구급여 적합 통지서(거주지 시,군,구에서 발급) - 건강보험가입일 경우 : 보장구급여 대상자 확인(건강보험공단으로 전화확인) 7. 보청기 종류 및 판매처 - 보청기 종류 : 디지털 2채널 보청기, 디지털 4채널 보청기 - 판매처 : 대한복지용구 8. 상담 문의처 - 대한복지용구(의료기기판매업신고번호 : 제763호) http://cafe.daum.net/kmiw - ☎ 02)962-6756(代 ), 070-8237-6757 FAX : 02)962-6757 H.P : 010-7265-0464 - 담당자 : 배 중 찬 본부장 E-mail : kds4978@hanmail.net - 본 행사 보청기들은 전량 수입 제품이기 때문에 환율 변동에 따라 판매가격이 다소 변동 될 수 있습니다. 보청기 구입 전에 본 업소에 문의를 하시고 구매 하세요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관련사이트

  • 전라북도
  • 정읍시
  • 보건복지부
  •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
  • 전라북도사회복지협의회
  • 삼육재단
  • 복지넷
  • 한국사회복지사협회
  •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
  • 전라북도평생교육진흥원
  • 사회복지 자원봉사인증관리
  • 중앙치매센터